차우차우 성격 단두종 특징 질병
안녕하세요! 댕댕이 친구들을 사랑하는 여러분! 오늘은 정말 독특하고 신비로운 매력을 가진 친구, 바로 차우차우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해요. 쳐진 눈과 동글동글한 얼굴이 꼭 곰돌이 같기도 하고, 목 주변의 풍성한 털은 용맹한 사자를 떠올리게 하는데요. 무엇보다 가장 큰 특징은 바로 신비로운 보라색 혀랍니다! 😊
푸근한 인상 뒤에 숨겨진 반전 매력과 꼭 알아야 할 건강 정보까지, 오늘 차우차우의 모든 것을 샅샅이 파헤쳐 볼게요!
곰? 사자? 독특한 매력의 차우차우, 어떤 강아지일까요?
차우차우는 그저 귀엽기만 한 강아지가 아닙니다. 무려 2000년이 넘는 아주 깊은 역사를 간직한 견종이에요. 이 친구의 뿌리부터 이름의 유래까지,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정말 많답니다.
2000년의 역사를 가진 중국 토종견
차우차우는 중국의 토종개로, 그 기원이 정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티베탄 마스티프와 사모예드 같은 고대 견종으로부터 유래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어요. 중국에서는 이 독특한 외모 때문에 '털북숭이 사자개'라는 뜻의 ‘숭스취안(松狮犬)’이라고 불립니다.
과거 중국에서 차우차우는 경비, 목축, 썰매 끌기 등 다방면에서 활약한 만능 일꾼이었어요. 하지만 안타깝게도 모피나 식용으로 희생되기도 했고, 1960년대 중국 문화대혁명 시기에는 ‘쓸모없는 개’로 취급받아 수많은 아이들이 희생당하는 가슴 아픈 역사를 가지고 있답니다.
차우차우는 보통 키(체고)가 약 50cm, 몸무게는 20~30kg 정도 나가는 중형견으로 분류됩니다. 하지만 풍성한 털과 다부진 체격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대형견처럼 느끼는 분들이 훨씬 많은 것 같아요. 평균 수명은 10년에서 15년 정도랍니다.
'차우차우' 이름의 비밀
중국에서는 '숭스취안'으로 불리는데, 왜 우리는 '차우차우'라고 부를까요?! 여기에는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가장 널리 알려진 이야기는 18~19세기 영국과 중국의 무역과 관련이 있어요. 당시 영국 상인들은 중국에서 들여오는 다양한 화물들을 통틀어 '차우차우(Chow Chow)'라고 불렀다고 해요. 이 개들 역시 그 '기타 화물' 중 하나로 배에 실리면서 자연스럽게 차우차우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합니다.
차우차우의 반전 매력! 외모와 숨겨진 특징들
차우차우는 보면 볼수록 신기한 특징들이 많은 친구예요. 순둥해 보이는 외모와는 다른 반전 매력들을 하나씩 살펴볼까요?
순한 얼굴 속 강력한 힘, 치악력!
차우차우는 겉보기와 달리 몸 전체가 근육질로 이루어져 있어요. 그래서 덩치에 비해 힘이 어마어마하게 세답니다. 특히 무는 힘, 즉 치악력은 약 102kg (225 PSI) 정도로, 저먼 셰퍼드와 비슷한 수준이에요. 이는 투견에게도 쉽게 밀리지 않을 정도의 강력한 힘이라, 어릴 때부터 꾸준한 교육과 사회화가 정말 중요합니다.
사자 갈기 같은 풍성한 이중모
차우차우의 상징과도 같은 풍성한 털! 목 주변의 털은 정말 사자의 갈기 같아서 위풍당당해 보이죠. 이 털은 추위를 막아주는 속털과 외부 오염을 막는 겉털로 이루어진 '이중모' 구조입니다. 이 때문에 털 빠짐이 정말 상상 이상으로 심한 편이에요. 털이 엉키지 않고 피부병이 생기지 않도록 최소 일주일에 2~3회 이상은 꼼꼼하게 빗질을 해주셔야 한답니다.
신비로운 보라색 혀의 전설
일반적으로 강아지 혀는 분홍색이지만, 차우차우와 샤페이는 독특하게도 보라색, 혹은 검푸른 색의 혀를 가지고 있습니다. 사실 차우차우도 갓 태어났을 때는 우리에게 익숙한 분홍색 혀를 가지고 있다가, 생후 8~10주가 지나면서 점차 색이 변하기 시작해요. 멜라닌 색소가 과다 침착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알려져 있지만, 아직까지 그 이유가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습니다.
여기에는 재미있는 중국 전설도 전해져 내려오는데요. 세상이 처음 만들어질 때, 한 신이 하늘을 파란색으로 칠하고 있었는데, 옆에 있던 차우차우가 바닥에 떨어진 페인트 방울들을 낼름 핥아버려서 혀가 파랗게 물들었다는 귀여운 이야기랍니다.
알고 보니 늑대와 가까운 스피츠 계열?!
곰을 닮은 외모 때문에 오해하기 쉽지만, 차우차우는 유전적으로 시바견, 진돗개, 시베리안 허스키처럼 늑대와 유전적 거리가 아주 가까운 '스피츠' 계열의 견종입니다. 특히 여러 스피츠 견종 중에서도 늑대의 유전적 특성을 많이 간직하고 있다고 해요. 이 사실이 차우차우의 독립적이고 다소 까칠한 성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열쇠가 된답니다.
알쏭달쏭 고양이 같은 차우차우 성격
차우차우의 성격을 한마디로 표현하면 '개냥이'가 아닐까 싶어요. 낯선 사람에게는 경계심이 강하지만, 내 사람에게는 한없이 다정한, 알면 알수록 매력적인 성격을 가졌답니다.
순한 인상과는 다른 예민함과 까칠함
앞서 말했듯 차우차우는 스피츠 계열의 특성을 고스란히 가지고 있어요. 그래서 순한 인상만 보고 섣불리 다가갔다가는 깜짝 놀랄 수 있습니다. 독립심이 강하고, 낯선 사람이나 동물에 대한 경계심이 아주 높은 편이에요. 자신의 영역과 가족을 지키려는 본능이 강해서 충분한 사회화 훈련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공격성을 보일 수도 있습니다. 어릴 때부터 다양한 소리, 사람, 환경에 긍정적인 경험을 쌓게 해주는 것이 정말 중요해요!
내 보호자에게만은 따뜻하겠지, 충성심 강한 댕댕이
경계심이 강한 만큼, 한번 마음을 연 보호자에게는 세상 둘도 없는 충성심과 애정을 보여줍니다. 듬직하고 조용하게 곁을 지켜주는 타입이라고 할 수 있어요. 하지만 독립성이 강해서 스킨십을 강요하거나 귀찮게 하는 것은 별로 좋아하지 않아요. 이런 모습이 꼭 시크한 고양이를 닮았다고 해서 '고양이 같은 개'라고 불리는 거랍니다.
웬만해선 짖지 않는 진중함
차우차우는 경계심이 강하면서도 동시에 느긋하고 차분한 성격을 지녔습니다. 그래서 꼭 필요한 상황이 아니라면 헛되이 짖거나 부산스럽게 구는 일이 거의 없어요. 묵직하고 진중한 성격 덕분에 아파트 같은 공동주택에서도 비교적 조용히 지낼 수 있는 견종입니다.
차우차우와 함께하기 전, 꼭 알아야 할 건강 문제!
매력적인 차우차우와 가족이 되기 전, 유전적으로 취약한 질병들에 대해 미리 알아두는 것은 보호자의 중요한 책임이에요. 특히 차우차우는 단두종의 특징과 관련된 질병에 주의해야 합니다.
단두종 특징과 깊은 눈으로 인한 '안검내반증'
안검내반증은 눈꺼풀이 안쪽으로 말려 들어가 속눈썹이 계속해서 안구를 찌르는 질환입니다. 차우차우는 깊고 주름진 눈 구조 때문에 이 질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요. 아이가 평소에 눈물을 많이 흘리거나, 눈을 자주 비비고, 눈곱이 심하게 낀다면 반드시 병원에서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더위에 유독 약해요! 열사병 주의보
차우차우는 원래 추운 지역의 썰매견 유전자를 가졌지만, 품종 개량을 거치며 코가 짧아지는 단두종의 형태를 띠게 되었어요. 단두종은 코와 기도가 짧아 호흡을 통해 체온을 조절하는 능력이 현저히 떨어집니다. 여기에 빽빽한 이중모까지 가졌으니, 그야말로 더위에는 최악의 조건을 갖춘 셈이죠. 여름철에는 열사병에 걸릴 위험이 매우 높으니, 한낮의 산책은 절대 금물이고 항상 시원한 환경을 유지해 주셔야 해요.
걷는 모습이 이상하다면? '고관절 이형성증'
고관절 이형성증은 골반과 대퇴골을 잇는 고관절이 비정상적으로 형성되고 발달하는 유전 질환입니다. 미국 정형외과 재단(OFA)의 통계에 따르면, 검사를 받은 차우차우 중 약 21%가 이 질환을 앓고 있을 정도로 발병률이 높은 편이에요. 아이가 잘 움직이려 하지 않거나, 절뚝거리고, 토끼처럼 두 뒷다리를 모아 뛰는 '버니홉' 증상을 보인다면 이 질환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단두종의 숙명, '호흡기 폐쇄 증후군(BAOS)'
머리가 납작해지고 코가 짧아지면서 콧구멍, 연구개, 기관지 등 상부 호흡기 구조가 비정상적으로 좁아지는 것을 단두종 호흡기 폐쇄 증후군(BAOS)이라고 합니다. 이로 인해 평소에도 '컥컥'거리거나 거위 소리 같은 호흡음을 내고, 코골이가 매우 심할 수 있어요. 심한 경우 호흡 곤란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수의사와 꾸준한 상담을 통해 관리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사자개 차우차우의 A to Z를 함께 알아봤는데요. 듬직하고 충성스러우며 조용한 성격은 정말 매력적이지만, 그만큼 까다로운 털 관리와 사회성 훈련, 그리고 여러 유전 질환에 대한 깊은 이해와 책임감이 필요한 친구랍니다. 차우차우와 가족이 되는 것을 고려하고 계신다면, 오늘 나눈 이야기들을 꼭 기억해 주세요